favicon Jay Lee DevLog

728x90
300x250

가장 중요한 제일 최신 기출을 안풀었었다.

이제 공부가 어느정도 다 끝난 상태라 그런지,

웬만하면 합격점은 다 넘는 것 같다..

여기는 다 적지는 않고, 추가로 공부해야 될 것만 적어두겠다.

 


1. 리눅스 실무의 이해

ro는 read only의 약자로 수정이 불가능 한 상태이다. 루트 비밀번호를 수정해주어야 하므로 수정이 가능한 rw(read write)로 수정해 주어야 한다.
init-/bin/sh로 변경하여 싱글모드로 부팅한다.

rhgb는(redhat graphical boot)gui 환경으로 부팅하라는 내용이다.
LANG=ko_RR.UTF8의 경우 한국어를 언어를 사용한다는 뜻이며 유니코드 인코딩을 UTF-8 방식으로 한다는 뜻이다.

 

GDM (GNOME Display manager) : 윈도잉 시스템 X11과 웨이랜드를 위한 디스플레이 관리자로 위 이미지가 이에 해당
KDE (K Desktop Environment) : KDE는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구동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제작하는 다국적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GNOME : 우분투, 페도라, 데비안 등 여러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데스크톱 환경 GUI
Mutter : GNOME의 컴포지터

 

 

2. 리눅스 시스템 관리

make config: 이는 텍스트 기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X 윈도 환경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ke xconfig: 이 도구는 Qt 기반의 그래픽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X 윈도 환경이 설치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ke menuconfig: 이는 텍스트 기반의 메뉴 구동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역시 X 윈도 환경이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ke gconfig: 이 도구는 GTK+ 기반의 그래픽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X 윈도 환경이 설치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X 윈도가 미설치된 환경에서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옵션 1인 make config와 옵션 3인 make menuconfig의 조합이 알맞습니다. 이 두 도구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래픽 환경이 필요 없습니다.

 

mdadm
-C (--create): RAID 장치 생성
-l (--level): RAID 레벨 지정 0, 1, 4, 5, 6
-n: RAID 구성할 디바이스 개수를 지정 2, 3, 4..

사용 예) mdadm -C /dev/md2 -l 1 -n 2 /dev/sdb1 /dev/sdc1
-> /dev/md2를 생성, RAID 1 구성으로 장치는 2개(/dev/sdb1 /dev/sdc1)

 

 

1. *.=warn
warn 수준의 메시지만 기록한다는 뜻이므로 조건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3. *.warn
warn 수준 이상의 메시지만 기록한다는 뜻이므로 조건과 일치합니다.

 

last: 시스템에서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사용자와 관련된 기록을 표시
lastlog: 각 사용자 계정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을 표시
dmesg: 커널의 링 버퍼에서 메시지를 출력
logger: 시스템 로그에 메시지를 기록

 

 

xfs에서는 dump 대신에 xfsdump를 사용하며 restore 또한 xfsrestore를 사용한다.
dump 명령어가 xfs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3.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LoadModule userdir_module modules/mod_userdir.so : 개인 홈페이지 사용자를 위해 httpd.conf 파일에서 관련 모듈 활성화

 

 

1. mysql_connect는 DB를 연결하는 함수이며 ex)$변수명 =  mysql_connect("주소","ID","Pwd") 처럼 사용합니다
2. mysqli_connect는 DB를 연결하는 함수이며 ex)mysqli_connect(host, username,password, databasename, port,socket);
처럼 사용됩니다
3. mysql_select_db 는 DB선택으로 ex)mysql_select_db("DB_NAME",mysql_connect 접속 정보);
4. mysqli_select_db는 3번의 사용과 같지만 mysqli_connect의 DB명을 사용합니다
      ex)mysqli_select_db($mysqli_connect 함수를 담고 있는 변수, "DB명");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설정하고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RPC (Remote Procedure Call) 처리를 위한 데몬은 rpcbind입니다. CentOS 7에서는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었던 portmap 데몬이 rpcbind로 대체되었습니다. NIS 서버 설정과 관련하여, ypserv는 NIS 서버 데몬을, ypbind는 NIS 클라이언트 데몬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RPC 처리를 위한 질문에서는 rpcbind가 올바른 답입니다.

따라서, CentOS 7에서 NIS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 RPC 처리를 위한 데몬 실행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4. systemctl start rpcbind 입니다.

 

NIS 클라이언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ypbind와 yp-tools라는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한다.

 

ypcat : NIS 클라어언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NIS의 DB라고 할 수 있는 맵 파일의 내용 확인
yptest : NIS 클라이언트에서 관련 설정을 테스트 하는 명령
ypwhich : NI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NIS 서버명과 관련 된 맵 파일 정보 출력
yppush : NIS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명령

그외:
yppasswd : NI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 서버의 root 패스워드 필요
ypchsh : NIS 클라이언트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쉘을 변경
ypchfn : NIS 클라이언트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변경

MTA  (Mail Transfer Agent)
- SMTP 프로토롤을 이용해 다른 메일 서버로 전달하는 프로그램,
     -sendmail, qmail, postfix, MS Exchange Server 등

MUA (Mail User Agent)
- 사용자가 메일을 읽고 보낼때 사용
     -evolution

MDA (Mail Delivery Agent)
- 일종의 대리인 역할, 메일박스에 도착한 메일을 대행해서 가져오거나 전달하는 역할
     -procmail

 

Xen : CPU 전가상화 반가상화를 모두 지원하는 하이버 바이저 기반의 가상화 기술
KVM : 인텔 CPU가 지원하는 VT-X 및 AMD-V를 바탕으로 CPU 전가상화를 지원하는 기술.
Hyper X :  x64 시스템을 위한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화 시스템, 서버 가상화를 위한 가상 머신
Virtual Box : 오라클이 주도하여 개발 및 배포하고 있는 x86 기반 가상화 소프트 웨어, 호스트 기반 가상화
VMM(Virtual Machine Monitor):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가상머신의 하드웨어와 매핑하고 게스트 운영체제의 자원 사용을 관리

VMM과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운영체제의 커널 일부를 수정해야하므로 반가상화. 이 중 반가상화를 지원하는 것은 XEN 뿐이므로 답은 1번이 된다.

 

답 : 2번

 

DHCP는 클라이언트 호스트가 사용할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네임 서버 주소 등을 자동으로 할당하는 서비스. 동적 할당으로 효율을 IP 주소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
RIP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이름처럼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정답 : hardware ethernet

 

정답 : nftables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