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 목차

최근 3회 정도의 기출 점수가 다 딱 60점이 나와서 좀 불안한데,

다행히 이번 기출은 점수가 꽤 높게 나왔다.

이제 점점 똑같은 문제들 혹은 문제는 바꼈으나 정답은 그대로인 변형 문제들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다.

그럼 오늘도 오답노트 정리를 해보자.


2018년 3월 기출문제

 

1. 리눅스 실무의 이해

사용자의 로그인 셸 정보는 /etc/passwd 파일의 7번째 필드에 기록
bash의 경우 히스토리 리스트 버퍼에 저장된 명령들은 위/아래 방향키를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리눅스는 ksh와 csh 장점을 결합한 bash 를 표준으로 함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출력
# ip addr
# ip addr show
# ip addr list

 

2. 리눅스 시스템 관리

화면 갱신 시간은 기본적으로 3초 단위이며 시간 변경은 d 입니다.
k : kill 명령을 내린다. PID 값을 입력하면 종료 신호를 보낸다.

 

그룹명 : 그룹패스워드 : 그룹GID : 사용자아이디, 보조그룹만명시

/etc/passwd에 기재되어 있는 GID가 사용자의 주 그룹을 의미합니다.
위의 문제는 /etc/group에 대해 물어보고 있는데, /etc/group은 사용자의 보조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4. kaituser 사용자는 ihduser 그룹에 보조 그룹으로 속해 있다는 지문이 맞습니다.

 

id - 사용자정보,uid,gid,소속그룹정보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
w - 서버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자세히 알려주는 명령어
who -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확인
users -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이름 출력

 

yum-utils에 포함된 대표적인 명령어입니다.
***yumdownloader :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다운로드하는 명령어
(***reposync : 저장소를 로컬 디렉토리에 다운로드하는 명령어)

 

lp : System V 계열에서 사용하는 인쇄 명령으로 BSD 계열의 lpr 명령과 유사합니다.
그리고 lp -n 2는 2장을 출력하겠다는 의미입니다.

lpd : 프린터 데몬
lpr : 파일내용 프린트, 하지만 lpr -n 옵션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형식화하는 필터 사용하는 옵션임.
lpq : 프린터 큐 보기, 대기중인 내용 확인. 주로 lpd데몬 실행후, 설정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는데 사용.
lpc : 프린터 제어, 프린터 상태 확인, 큐 활성화 및 비활성화, 작업순서 변경.

 

make mrproper -> make menuconfig -> make bzimage -> make modules -> make modules_install -> make install 순서

 

631 : CUPS 포트.
2654 : Corel VNC 관리자.
5900 : VNC 원격제어 프로그램.
8080 : HTTP 포트 (application server) (80 포트는 Calendar Server에서 표준 HTTP 포트.)

 

OSS 프로젝트는 초기에는 Free Software였으나 프로젝트 성공 이후 4Front Technologies라는 회사에 사유화되었고 이에 리눅스 커뮤니티는 리눅스커널에 구현되었던 OSS/free를 포기하고 ALSA로 대체하였습니다.

 

 

3번은 옵션을 확인하는거고 커널 컴파일에서 확인하는 과정이라 4번이 됩니다. 결과물이 서로 다릅니다.

 

lpc : 프린터를 제어하는 명령어. 프린터의 상태확인, 큐의 (비)활성화, 큐의 작업순서 변경 등을 통제.
한대의 리눅스 박스에 여러대의 프린터가 연결돼있는 경우 사용.
lpcstat : 현재의 인쇄 대기열 보기

lpadmin : 위의 설명 참고

 

last : /var/log/wtmp

 

모든 facility가 발생하는 메시지 중 info 이상 메시지만 /var/log/messages에 기록되며 cron 관련 메시지를 제외한다.
‘facility.priority’와 ‘facility.=priority’의 구분을 요하는 문제이다.

-> 모든 facility가 발생하는 메시지 중 info 수준 이상의 메시지만 기록하는데 cron관련 메시지는 제외한다.

 

 

3.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Samba 데몬 종류
1. SMBD : 리눅스 및 윈도우 클라이언트에게 파일 공유 및 프린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하는 데몬
2. NMDB : 윈도우 기반 시스템에서 Netbios 이름 서비스에 응답하는 데몬
3. WINBINDD : 윈도우 사용자를 리눅스에 존재하는 사용자로 인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데몬

 

-L : 공유 디렉터리 정보 표시
-M : 메세지를 전송
-U : 사용자 이름 지정

 

MTA : sendmail, qmail, postfix, msexchange sever 등

 

ㅇ /etc/named.conf
  - 시스템에서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named 데몬(바인드라고도 함)을 구성하는 데 사용
  - DNS 서버의 전반적인 환경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이다.
  - 서버에서 사용하는 zone파일 및 reverse zone 파일을 지정한다.
  - DNS 서버의 동작 및 제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설정을 하는 영역
  - 존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명은 반드시 명기 해야함
    directory  "/var/named";
    -> 존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 명을 명기한다.

  - include 지시자를 선언하여 별도의 파일에 추가 정의할 수 있다.
  - named.conf파일이 구성은 크게 주석문과 구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석은 # , /* ~~~ */ , // 사용 <<<<<<<<<<<<<<<<<<<<<<<<<<<<<<<<<<<<<<<<<<
  - 각 구문은 중괄호"{ }"로 둘러싸고 끝날 때는 세미콜론";"을 사용한다.

 

ㅇ KVM : CPU 반가상 기술을 지원하지 않음.
         호스트 서버에서 보면 게스트 서버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간주되어 오버헤더가 거의 없다.
ㅇ Docker :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거나 게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하지 않고,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이미지로 만들어 프로세스처럼동작시키는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
ㅇ VirtualBox : 오라클이 주도하여 개발, 배포하고 있는 x86 기반 가상화 소프트웨어

ㅇ Xen : 전가상화, 반가상화 모두 지원

 

ㅇ m4 명령어는 메일 송/수신 시 필요한 sendmail.cf 생성하는 명령어.
  ex) m4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named-checkconf : DNS 서버의 환경설정 파일인 /etc/named.conf 파일의 문법적 오류를 찾아준다.
사용법 : named-checkconf [파일 명]
named-checkzone : zone 파일의 문법적 오류를 찾아준다.
사용법 : named-checkzone [도메인 명] [zone 파일 명]

 

/etc/sysconfig/vncservers : vnc 서버 설정 파일.

 

ㅇ A : 호스트 이름을 IPv4 주소에 매핑
ㅇ NS (Name Server) : 도메인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이름 서버를 지정
ㅇ MX (Mail Exchange) :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지정
ㅇ CNAME (Canonical Name) : 별칭 호스트 이름을 정식 호스트 이름에 매핑
   CNAME 레코드는 별칭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레코드이다.
ㅇ 파일 내용 예시
==========================================================================
...
                 IN      NS               ns.ihd.or.kr
                 IN      MX      10       mail.ihd.or.kr
  www           IN      A                192.168.12.109
  ftp           IN      CNAME   @
...
============================================================================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