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GE란
클러스터를 구성한 PC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본 적으로 스크립트를 만들어 사용하며,
일반적인 스크립트의 경우
'#' 뒤에 오는 문자들은 주석처리 되지만,
SGE에서는 ''#$"를 통해 명령어를 수행한다.
- 옵션
옵션 | 설명 |
#$ | “#$”는 작업을 제출 할 때 인수 목록의 일부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작업 제출을 위한 옵션 앞에는 “#$”를 입력 |
C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 |
-V | 시스템의 모든 환경 변수를 작업에서 참조 가능하도록 export |
-N <name> | 작업명 |
-S <shell_path> | 사용 shell |
-v [variable_list> | 환경변수 지정 |
-j <y(es) n(o)> | stdout 과 stderr 작업로그 기록 |
-o <output_path> | 표준 출력 로그 파일 |
-wd | 작업디렉토리 |
-pe <pe-name slot_range> | “pe-name”은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된 병렬환경 설정값(pe)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작업의 S/W 종류별로 관리자에 의해 스케줄러상에 등록되어 있는 pe를 지정. slot-range는 작업이 구동될 CPU 수를 의미 |
-q <queue> | 작업 큐 설정 |
-A <account_string> | S/W 지정 |
-m <mail_option> | 상태 변경시 메일발송 [ b: 시작시, e:종료시, a:중단시 , s:일시중지 시, n: 전송하지 않음(기본값) ] |
-masterq | 큐 마스터 |
-M <mail_list> | 메일 주소 |
-hold_jid | 의존 작업 ID |
-ㅣ<resource_name> | 자원 제한 |
-a <data_time> | 작업 시작 시간 |
-l <h_vem> | 메모리 제한 |
-l <h_rt> | 작업 실행 시간 제한 |
나도 아직 공부 중이라
직접 사용해보진 않았다.
사용하게 될 때 한 번 더 정리하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
'Cluster > Slu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urm 설치해보기(마무리_풀 설치과정) (0) | 2023.09.08 |
---|---|
slurm 설치해보기(3) (0) | 2023.08.08 |
Slurm 설치해보기(2) (0) | 2023.08.08 |
Slurm 설치 해보기(1) (0) | 2023.08.07 |
Slurm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