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728x90
300x250

어제에 이어 오늘은 Ansible을 직접 사용해보자.

내 PC를 관리서버로 두고,

회사에 있는 다른 VM을 클라이언트로 두고 테스트 해보려 한다.


- 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 확인하기

테스트에 앞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확인 방법이야 제일 간단한 ping 날려볼거다.

 

일단 ping은 잘 간다. 통신은 된다는 소리다. 물론 역방향도 확인해봐야 하는데,

어짜피 사내망이라 안될일이 없으니 패스.

 

이제 ansible을 이용해 ping을 날려보자.

ansible 192.168.60.123 -m ping

 

결과는,

 

안된다. 결과는 UNREACHBLE 이니깐 클라이언트로 접근을 못한단 얘기다.

그리고 아래쪽에 그 원인이 있다.

ssh Permission denied 이다.

 

해당 에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ssh를 사용하기 위한 키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다.

예전에 ssh 관련해서 정리해둔 글이 있는것 같은데...

https://dlwjdwls90.tistory.com/91

 

SSH를 이용한 다양한 로그인 방법 정리.

오늘은 SSH에 대해 정리해볼거다. SSH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가 실무에서 엄청 차이나니 꼭 알아두자. 먼저, RSA라는 것

dlwjdwls90.tistory.com

 

해당 글 참고하면, 서로 키를 교환한 노드간의 ssh 접속은 패스워드 없이 가능하다는걸 확인할 수 있다.

윗글을 참고하면서 키 셋팅을 해주자.

ssh-keygen -t rsa

 

해당 명령 실행해주면 

위와 같이 id_rsa.pub 파일이 생기는데, 이게 내 키다.

해당 키 값을 복사해서 클라이언트의 ~/.ssh/authorized_keys 에 넣어주면 된다.

이후 ssh를 사용하여 접속할때 패스워드가 안뜨면 잘 된거다.

 

이제 다시 ansible을 사용해보자.

 

잘된다.

실습을 통해 ansible을 사용하기 위해선 서버 <-> 클라이언트간 ssh 인증이 되어 있어야 된다는걸 알았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