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나는 현재 근무하는 곳에서 Terraform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IaC 중에 Terraform을 먼저 접하고 사용하고 있다.
내가 익숙해져서 그런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Terraform은 사용하기 쉽고 간단하다.
그러다 문득, Ansible은 어떤지 궁금해졌고,
이에 대해 한번 알아보려 한다.
1. 설치
나는 RockyLinux를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CentOS 기준으로 설치를 진행했다.
먼저 epel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설치.
yum install -y epel-release |
설치 완료 후에 Ansible 설치 진행
yum install ansible -y |
이렇게 하면 설치는 끝난다.
2. 사용법
ansible "hostname or ip" -m "ansible 모듈" -i "inventory 주소" | -i 부터는 있는 경우에는 사용 |
기본적인 사용법은 위와 같다.
일단 제대로 설치됐는지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자.
ansible localhost -m ping |
일단 설치는 잘 된 것 같다.
3. Ansible의 구조
이제 설치와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으니,
실제 어떤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일단 반드시 알아둬야 할 용어 2가지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 인벤토리(inventory)
- 호스트 목록이라고 보면 된다. 메인 서버에서 관리하게 될 클라이언트 목록정도로 보인다.
- /etc/ansible/hosts 파일에 주소를 넣어두면 된다. Terraform은 그냥 /etc/hosts에 넣어뒀던거 같은데 나중에 비교해봐야겠다.
- PlayBook
- 클라이언트에 전달할 명령어를 정의하는 부분
- 예를 들면, rsync 명령을 스크립트로 만들어두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이건 밑에서 직접 만들어보면서 확인해보자.
이렇게 인벤토리와 플레이북에 대해 알아봤고,
이제 다음글에서 실제로 사용해보자.
'IaC > Ans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C Ansible 사용해보기 - 2장. 모듈이란 (0) | 2025.02.03 |
---|---|
IaC Ansible 사용해보기 - 1장. 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