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 목차

 

 

동일한 리전 내에서

S3의 파일을 EFS로 복사해야하는 경우가 생겨서

관련 내용에 대해 찾아보고 정리하려 한다.

 

  • 람다를 활용한 전송

이게 제일 간단해보인다.

먼저 VPC의 Endpoint로 S3에서 접속한 다음 lambda를 이용해 efs에 마운트하는 형식으로 보인다.

 

  • 먼저 S3 버킷 먼저 생성

 

  • 리전 선택(나는 오하이오 리전을 선택해야 한다.)

 

옵션은 상황에 따라 다 다를테니 본인들 사항에 맞게 설정하여 생성하면 된다.

S3는 사용량에 따른 요금 부과가 진행되니 참고하자.


 

  • VPC 만들기

 

 

VPC 생성 눌러주고,

(검색에 강조해둔건 검색 부분에 VPC 검색하면 나오니깐 없으면 검색해서 쓰라고 하는거다.)

 

그림대로 VPC Endpoint를 이용하려면 하려면 해당 셋팅을 해줘야 할 것 같다.


  • lambda 설정

이제 람다함수를 사용해 S3에 오브젝트를 가져오도록 설정하자.

 

 

함수생성 클릭.

 

블루프린트에 보면 S3 오브젝트를 가져오는 코딩이 이미 존재한다.

해당 사항 선택해주고,

 

밑으로 내려오면 S3 트리거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본인이 아까 만든 S3 항목을 선택해주면 될 것 같다.


  • EFS에 마운트

본인의 상황에 맞게 EFS를 만들어준 후에

 

DNS를 통해 마운트할거다.

내가 어제 NFS는 자주 쓰이니 공부해두면 좋다고 했는데,

바로 나왔다.

여튼 해당 명령어를 통해 마운트 가능하니,

람다 쪽에 해당 명령을 실행하는 코드를 추가해두면 될 것 같다.

 


 

이렇게 간단하게 동일 리전내에 S3 to EFS에 대해 알아봤다.

핵심 내용들만 올려둔 거라

중간에 빠진 내용들이 굉장히 많다.

 

다들 잘 공부해서 완성해보길 바란다.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