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환경에서 뭘 해봐야 할까 생각해보다가
웹서버를 만들어보긴 했는데, 당장은 딱히 사용할 일이 없을 것 같아서
그냥 Slurm을 다시 설치해보려 한다. 이번에는 노드도 좀 여러개로 설치를 해보자.
기존에는 Rocky에서 설치를 했었고, 이번에는 우분투에 설치를 해볼거라서
커맨드나 설치과정이 조금씩 바뀔거다.
그리고 EC2 환경은 완전 아무것도 설치되어 있지 않는 백지와 같기 때문에,
설치해보는 의미는 있을 것 같다.
일단 기존의 설치한 slurm 파일이 있다면, 다운받은 slurm파일을 넣어줘야 한다.
scp -i "EC2 키" slurm-23.02.4.tar.bz2 ubuntu@"EC2 DNS 주소":"EC2 파일 넣을 경로" |
여기서 권한 관련 에러가 난다면,
EC2 키의 권한을 400으로 바꾸고 해주면 된다.
chmod 400 "EC2 키" |
위에 내용은 그냥 AWS 쓰는 김에 scp 잘되나 확인해보고 싶어서 해본 방법이고,
실제로는 그냥 wget으로 다운 받으면 된다.
wget "slurm 다운로드 url" |
slurm은 https://www.schedmd.com/archives.php 여기서 다운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제 Centos에서는 rpmbuild를 이용하여 slurm을 설치해줬었는데,
우분투에서는 압축을 푼 후에 make 명령을 사용하여 설치를 해줘야 한다.
먼저 압축해제 부터
tar xvjf "slurm 파일명" |
압축해제 한 후에는 압축 푼 폴더로 이동해서
./configure --prefix=/tmp/slurm-build --sysconfdir=/etc/slurm --enable-pam --with-pam_dir=/lib/x86_64-linux-gnu/security/ --without-shared-libslurm |
끝나면
make make contrib make install |
여기까지 하면 slurm 설치할 준비 완료.
아래 커맨드 실행하면 deb 파일 만들어지고,
sudo fpm -s dir -t deb -v 1.0 -n slurm-버전명 --prefix=/usr -C /tmp/slurm-build . |
해당 파일로 slurm 설치해주면 일단 설치까지는 끝이난다.
sudo dpkg -i 만들어진 deb 파일 |
일단 여기까지하면 slurm 설치가 끝이고,
다음 글에서 나머지 과정 정리해야 될 것 같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AA 공부3 (0) | 2023.10.18 |
---|---|
AWS SAA 공부2 (1) | 2023.10.17 |
AWS SAA 공부1 (1) | 2023.10.16 |
S3, EBS, EFS 스토리지 비교 (0) | 2023.10.04 |
AWS EC2(Elastic Compute Cloud) 사용 해보기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