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 목차

오늘은 VSCode에서 Github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짧게 정리하려 한다.

특별한 건 없어서

굉장히 짧은 글이 될거다.

 

일단 linux(centos) 기준이기 때문에,

linux에서 하는 방법이 될 거다.

 

먼저 git을 설치해야 한다.

CentOS 기준으로는

yum install git

ubuntu 기준으로는

apt intstall git-all

(자세한 정보는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84%A4%EC%B9%98 참고)

 

참고로 모두 root 기준으로 설치 했기 때문에 sudo를 제외한거다.

아니라면 당연히 sudo를 앞에 넣어줘야 한다.

 

그리고 나서는 vscode를 실행하고

F1을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열리는데,

여기서 git이나 clone으로 검색해서

Git: Clone을 선택한다. (없으면 git 설치가 안된거다. 설치하고 다시 하면 나온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위의 말 처럼

리포지토리 주소를 입력해주면 된다.

보통 https://github.com/아이디/경로 이런식의 주소이다.

 

경로를 넣었는데

"remote: Repository not found" 이런 에러가 나온다면,

해결 방법이 여러개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리포지토리 경로가 private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public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그러고 나면 이제 clone 경로 설정 창이 나올텐데,

적당한 경로에 설정해주면 된다.

 

그리고 파일 받아올거냐 라는 메시지가 뜨는데

받아오려면 YES 누르면 되고 설정한 폴더로 파일이 받아진다.

 

이후 정상적으로 Git에서 파일들을 받아왔다면,

수정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3번째 메뉴에 숫자 표시가 뜨게 되고

수정된 파일 명이 나오는데,

여기서 "+" 버튼을 눌러주면 commit 대상으로 선정되고,

커밋을 눌러주면 커밋 완료다.

 

추가로 커밋을 눌렀는데, Name을 모르겠다 뭐 이런식의 에러가 발생하고,

git log에 아래와 같은 로그가 찍혔다면, 다음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

*** Please tell me who you are.

 

1. 경로를 clone 설정한 경로로 이동한다.

2. 다음의 커맨드를 입력한다.

> git init

> git config user.name "원하는 이름"

> git config user.email "원하는 email"

> git add .

3. 이후 vscode를 다시 시작해주는게 좋다.

 

해당 에러는 사용자가 누군지 몰라 commit을 못하는 에러이기에

위에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

 

이상 VScode에 github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다음엔 commit이 겹쳤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