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728x90
300x250

현재 내가 재직 중인 회사는

아직 svn을 이용한 형상관리를 하고 있다.

 

이에 맞춰서 CI/CD를 구축하여

연구소 내에 제안해보려고 한다.

 

뭐 굉장한건 아니고, 그냥 svn commit 되면

jenkins를 통해 이를 업데이트 확인하여 패키지 만드는 스크립트 실행,

스크립트 실행 후에 생성된 배포 파일을 버전 별로 구분하도록 하는 정도다.

 


1. Jenkins 설치

일단 Jenkins의 설치부터 천천히 가보자.

설치 부분은 그냥 한번에 쭉 넘어가겠다.

# 1. Java 설치 (Jenkins는 Java 필요)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openjdk-17-jdk

# 2. Jenkins 저장소 키 등록
curl -fsSL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2023.key | sudo tee \
  /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dev/null

# 3. Jenkins 저장소 추가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sudo tee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dev/null

# 4. Jenkins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jenkins

# 5. Jenkins 시작 및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sudo systemctl enable jenkins
sudo systemctl start jenkins
sudo systemctl status jenkins

 

 

일단 설치는 완료다.

이후 웹으로 접속해보자.

http://127.0.0.1:8080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초기 비밀번호 확인은 아래 커맨드 실행.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이후 결과 값을 복사해서 입력하고 로그인하면 아래처럼 나온다.

 

나는 svn plugin이 필요하기 때문에

select plugins를 선택해서 진행할거다.

 

기본적인건 체크되어 있고,

SVN만 따로 체크해서 설치 진행해주자.

 

 

설치 진행중...

설치가 완료되면, 계정 생성화면이 나온다.

알아서 입력.

 

jenkins주소 입력도.

 

설치 및 계정 생성 끝.

 

2. Jenkins에서 SVN 저장소 등록

로그인까지 완료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인다.

 

여기서 새로운 Item을 눌러준다.

이후 나오는 화면에선 FreeStyle을 골라준다.

 

이후 나오는 화면에서 소스 코드 관리 클릭

이제 URL 등 필요한 정보를 적절히 넣어주자.

 

여기서 svn+ssh를 쓰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추가 절차가 필요하다.

2-1. ssh credentials plugin 설치

먼저 Jenkins 관리에 들어가면 plugins 메뉴가 있다.

이를 클릭하고,

Available plugins에 SSH Credentials Plugin을 검색해서 나오면

설치하면 되고, 안나온다면 아래의 절차를 수행하면 된다.

wget https://updates.jenkins.io/latest/ssh-credentials.hpi
sudo mv ssh-credentials.hpi /var/lib/jenkins/plugins/
sudo chown jenkins:jenkins /var/lib/jenkins/plugins/ssh-credentials.hpi
sudo systemctl restart jenkins

 

위처럼 수동으로 설치한 후에 Credentials 메뉴에서

아래처럼 Add credentails를 클릭 후

아래와 같이 알맞은 값들을 넣어주면 된다.

ssh를 쓰는 사람이라면 공개키, 개인키 관련된 부분은 알 거라고 생각하고

따로 설명하진 않겠다.

 

이제 다시 svn 저장소를 설정하자.

위처럼 다시 소스 코드 관리로 돌아오면 Credentials에 위에서 추가한

Credential이 추가되어 있을거다. 이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다른 옵션들은 일단 기본에서 변경하지 않고

Save를 눌르면 끝이다.

 

잘 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위의 그림에서 지금 빌드 클릭.

이후 아래 보이는 Builds에 뭔가가 나올 거고,

문제가 없다면 위의 화면 처럼 녹색 동그라미 체크 표시가 뜬다.

이를 클릭해보면,

 

이렇게 콘솔 로그도 확인이 가능하니

문제가 있다면 로그를 확인 후 수정해보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