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이제 만든 이미지를 배포해보자.
이번 글도 짧을 예정이다..문제만 없다면 말이다..
배포는 진짜 진짜 쉽다.
1. k8s-deployment.yaml 파일 만들기
root 경로에 k8s라던지 kubernetes라던지 관련 폴더 하나 만들고,
k8s-deployment.yaml 파일 만든 후에 안에 관련 내용 적어주면 된다.
image 쪽에 원하는 이미지 넣고 저장하면 된다.
이후
kubectl apply -f k8s-deployment.yaml |
이렇게 나오면 배포 끝이다.
배포가 잘됐는지 본인 클러스터에서 확인해보면,
my-app 이라고 내가 위에서 만든 yaml파일의 내용을 토대로 만들어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STATUS가 pending 상태라서 원인 확인해보니,
지금은 마스터노드만 켜둔 상태라 워커노드가 없어서 나는 에러다. 자원부족..
이렇게 수동으로 배포를 해봤다.
이제는 자동화를 해보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