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저번 글이 error들로 인해 너무 길어지는 바람에
설정을 못했다. 이번 글은 설정들만 짧게 가져가려 한다.
1. 클러스터 설정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
홈 경로에 k8s 관련 admin 설정 파일을 복사하고 권한주는 커맨드이다.
2. 네트워크 플러그인 설치(Calico)
Calico란 Kubernetes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및 보안을 관리하는 CNI (Container Network Interface) 플러그인으로
주로 Pod 간 네트워크 연결, 네트워크 정책 적용, BGP(Border Gateway Protocol) 기반 라우팅 등을 지원한다고 한다.
pod간 통신을 위하 반드시 필요한 플러그인이라고 보면 된다. 설치해주자.
kubectl apply -f https://docs.projectcalico.org/manifests/calico.yaml |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
명령 실행했을 때 위의 사진처럼 calico가 있으면 된거다.
설치하고 명령 바로 실행해서 아직 STATUS가 pending으로 되어 있는데,
나중에 설치 끝나고 보면 running으로 바껴있어야 한다.
이렇게 설치끝나면 runnung이 된다.
여기까지 하면 이제 마스터노드에 대한 설정은 끝이다.
이제 다음글에는 VM 설치부터 작업노드 생성까지 진행해보자.
728x90
반응형
'Cluster > CI 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설치, 구축부터 CI/CD까지 구현해보기 - 6. Github를 수정하면 Docker Image 자동으로 수정되도록 설정하기(CI 설정) (0) | 2025.03.21 |
---|---|
쿠버네티스 설치, 구축부터 CI/CD까지 구현해보기 - 5. Github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이미지로 변환하기 (0) | 2025.03.21 |
쿠버네티스 설치, 구축부터 CI/CD까지 구현해보기 - 4. 쿠버네티스 연결을 위한 작업노드 설정하기 (0) | 2025.03.20 |
쿠버네티스 설치, 구축부터 CI/CD까지 구현해보기 - 3. 작업노드 생성을 위한 KVM 설치 및 OS 설치 (0) | 2025.03.19 |
쿠버네티스 설치, 구축부터 CI/CD까지 구현해보기 - 1.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