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 목차

요즘 k8s에 대해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게 있는데,

자꾸 됐다 안됐다해서 에러 확인을 해야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그래서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두려 한다.

 


 

1. pod 상태확인

kubectl get pods -A 현재 생성된 pod들의 상태를 볼 때 사용한다.

 

위와 같이 현재 pod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데,

나 같은 경우 "ContainerCreating" 이라는 STATUS에서 넘어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2. 로그 확인

kubectl logs "pod NAME" -n "NameSpace" 선택한 pod의 로그를 확인한다.

나의 경우 위와 같은 로그가 찍혀있었고, 사실 로그는 굳이 확인안해도 STATUS와 같은 부분이 많이 나온다.

일단 알아두면 좋기때문에 정리해둔다.

 

3. 원인 파악

kubectl describe pod "pod NAME" -n "NameSpace" 문제가 있는 경우 문제의 원인을 확인한다.

 

콘솔이 꺼져서 스크린샷을 못찍었는데,

나의 경우 /home 볼륨을 해당 인스턴스에서 nfs mount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home 경로에 접근을 못한다라는 에러가 찍혔었다.

그래서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진짜로 /home에 접근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해당 현상을 수정하고 나니 문제 없이 container가 생성됐다.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