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요즘 k8s에 대해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게 있는데,
자꾸 됐다 안됐다해서 에러 확인을 해야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그래서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두려 한다.
1. pod 상태확인
kubectl get pods -A | 현재 생성된 pod들의 상태를 볼 때 사용한다. |
위와 같이 현재 pod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데,
나 같은 경우 "ContainerCreating" 이라는 STATUS에서 넘어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2. 로그 확인
kubectl logs "pod NAME" -n "NameSpace" | 선택한 pod의 로그를 확인한다. |
나의 경우 위와 같은 로그가 찍혀있었고, 사실 로그는 굳이 확인안해도 STATUS와 같은 부분이 많이 나온다.
일단 알아두면 좋기때문에 정리해둔다.
3. 원인 파악
kubectl describe pod "pod NAME" -n "NameSpace" | 문제가 있는 경우 문제의 원인을 확인한다. |
콘솔이 꺼져서 스크린샷을 못찍었는데,
나의 경우 /home 볼륨을 해당 인스턴스에서 nfs mount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home 경로에 접근을 못한다라는 에러가 찍혔었다.
그래서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진짜로 /home에 접근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해당 현상을 수정하고 나니 문제 없이 container가 생성됐다.
'Cluster > 쿠버네티스(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원 or 노드 부족 에러 (0) | 2025.03.05 |
---|---|
Pod 추가 기능 (0) | 2023.09.27 |
kubernetes(k8s) 기본 사용법 배우기 (2) | 2023.09.26 |
kubernetes 이해하고 사용해보기2 (2) | 2023.09.25 |
kubernetes 이해하고 사용해보기 (0)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