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Jay Lee DevLog

📚 목차

내가 개발하고 있는 SW에는 sge를 사용하여, 스케줄링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sge의 상태나 설정을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있는데,

자주 안쓰다보니 매번 까먹어버린다.

그래서 자주 쓰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해보려 한다.

 


1. qconf

주로 sge의 세팅에 대한 확인을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나는 주로 complex_values가 정상적으로 들어가 있는지 확인하려 할 때 사용한다.

complex_values는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 나도 잘 모르겠지만,

내가 쓰는 환경에서는 최대로 할당가능한 작업의 수에 대한 제한 값을 넣고 있다.

 

나도 누구한테 설명듣고 한게 아니라서, 그냥 내가 이해하는 대로만 정리한다. 

실제 내용은 다를 수도 있다.(정확한 설명은 qconf -help 치면 나온다.)

 

먼저 사용 예시를 보자.

qconf -se global 전체 세팅에 대한 요약.
qconf -sc complex에 대한 속성 값
qconf -sq "queue name" 입력한 queue에 대한 정보
qconf -sql 전체 queue에 대한 정보 리스트
qconf -ssconf sge 스케줄러에 대한 설정 확인
qconf -msconf sge 스케불러에 대한 설정 변경 위(-ssconf)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vim 편집기이므로 vim 명령어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2. qstat

sge queue에 대한 현재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qstat -F vl 현재 queue의 상태를 볼 수 있다.

 

작업이 계속 대기상태에 있을 때 주로 치는 명령어다.

작업이 많아서 자원이 부족하게 되면, load_avg 값이 굉장히 높게 올라가 있을 거다.

그럴 때는 아래의 커멘드로 load_avg의 max 값을 늘려줘야 한다.

qconf -ssconf를 치면 현재 스케줄러에 대한 셋팅 값을 확인할 수 있고,

qconf -msconf를 치면 스케줄러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job_load_adjustments의 값을 변경해주면,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의 양을 늘려줄 수 있다.

 

 

 

 

 

+ Recent posts

/ /

Contact

📧 dlwjdwls60@naver.com


블로그에 내용이 있으면 해당 글을 보여주며, 없으면 내용이 복사된 채로 ChatGPT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