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SNS topic을 만들고
이를 구독하는 방법을 cli를 통해 구현해보려 한다.
간단하긴 한데, 이후에 연결되는 사항이 있어서
작성한다.
먼저 SNS가 뭔지 알아야할테니, 간단한 설명을 해보자.
Amazon Simple Notification Service(SNS)라고 한다.
뭐 홈페이지 들어가면 설명이나 특징은 잘 설명되어 있을 거고,
그냥 간단하게 말하면 구독서비스 같은거다.
어떠한 주제(topic)을 만들고 이를 구독하면 해당 주제에 대한 알람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럼 먼저 콘솔을 통해 대강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보자.
SNS 서비스를 선택 후에 오른쪽 상단의 주제 생성에 가서 제목을 넣고 다음 단계를 누르면,
위와 같이 여러 세팅들이 있다. 본인에게 맞게 세팅하고 주제 생성을 클릭하면 끝이다.
여기서 빨간 네모로 표시해둔 부분은 나중에 활용할 여지가 많아서 표시해뒀다.
안에 내용을 잘 읽어보면 되겠지만,
간단하게 첫번째 FIFO는 먼저 들어온 메시지가 먼저 처리되는 형식이고,
나머지는 최적의 조건을 찾아서 순서는 변경될 수 있지만 처리속도가 빠른 방식이다.
이제 cli를 통해 만들어보자.
1. 주제 생성
먼저 위에 콘솔을 통해 만들었던 주제 생성을 해보자.
arn=$(aws sns create-topic --name "주제 명" --region us-east-2) |
위의 커맨드를 실행하면 주제가 만들어 진다.
그리고 그 주제의 리턴값을 arn이라는 변수에 넣어주고 있는데,
이 arn 값이 내가 만든 주제에 대한 키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값을 알고 있어야 이곳 저곳에서 쓸 수 있다.
명령을 실행하고 Amazon SNS > 주제 메뉴에 가보면
내가 만든 주제가 있을 거고, ARN 값도 확인할 수 있다.
2. 구독 하기
이제 1번에서 만든 주제를 구독해보자.
구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은 구독할 Email 계정과 아까 1번에서 언급한 ARN 값이다.
Email은 알림을 받을 주소이다.
aws sns subscribe \ --topic-arn "ARN" \ --region us-east-2 \ --protocol email --notification-endpoint "Email" |
ARN 값을 가진 주제를 구독하고,
연락받을 Email을 넣어주는 코드다.
이렇게 간단하게 주제(topic)과 구독을 cli를 통해 할 수 있다.
나는 주로 console이 아닌 cli를 통해 aws 자원을 만들어 사용한다.
앞으로 관련해서 자주 올려보도록 하겠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3 간 파일 업로드 시 옵션값 설정에 따른 속도차이 계산(S3 SYNC 성능 개선) (0) | 2024.09.26 |
---|---|
인스턴스에 S3 Mount 하여 사용하기 (0) | 2024.07.02 |
CloudWatch 사용하기 (0) | 2024.04.17 |
Application Load Balancer에 대한 고정 세션(Sticky) (0) | 2024.04.02 |
ELB(Elastic Load Balancer) 사용해보기 (0) | 2024.04.02 |